Android/Kotlin (7) 썸네일형 리스트형 [Kotlin]AsyncTask의 사용 AsyncTask는 안드로이드에서 비동기 처리를 할 수 있게 해주는 클래스입니다. 주로 백그라운드 스레드에서 작업을 처리하고 결과를 메인 스레드에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AsyncTask는 추상 클래스로, 구현해야 하는 4개의 메서드가 있습니다. doInBackground(params: Params) : 백그라운드 스레드에서 실행할 작업을 정의합니다. onPreExecute() : doInBackground()가 실행되기 전에 메인 스레드에서 실행할 작업을 정의합니다. onPostExecute(result: Result) : doInBackground() 작업이 완료된 후에 메인 스레드에서 실행할 작업을 정의합니다. doInBackground()에서 리턴한 결과를 매개변수로 전달합니다. onProgre.. [Kotlin] Sharedpreference 사용법,메소드 Kotlin에서 SharedPreferences를 사용하여 Android 앱에서 간단한 키-값 쌍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SharedPreference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haredPreferences 인스턴스 가져오기 Context 객체, 예를 들어 Activity 또는 Application 인스턴스에서 getSharedPreferences를 호출하여 SharedPreferences 인스턴스를 가져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Editor 가져오기 SharedPreferences를 편집하려면 SharedPreferences.Editor 인스턴스를 가져와야합니다. SharedPreferences 인스턴스에서 edit을 호출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 HTML 삽.. [Kotlin] constructor , init 이란? Java를 공부할때 생성자는 클래스네임 형태로 정의가능했다. 또한 여러개를 만들어도 overloading을 이용해서 이를 해결 할수 있었다. Kotlin에서는 constructor을 사용한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Java와 다른점은 default 변수선언을 통해 3가지 생성자를 한번에 정의 가능하다. Kotlin에서 constructor은 클래스를 선언할때 덧붙여서 생성자를 만들수 있으며 생략 가능하다. init은 클래스가 생성될때 항상 처음 호출되지만 생성자의 역할을 할뿐 실제로 생성자의 동작을 담당하지는 않는다. init이 필요한 이유는 클래스를 생성할때 호출하는 기본 constructor에서는 코드가 포함될수 없으며, 초기화 코드는 init block으로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Kotlin] RecyclerView에 CustomDialog 추가하기 이전에 recyclerview를 만들어보았다. 여기에 클릭이벤트를 추가해서 미리 만들어놓은 xml을 띄어보려고 한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위 코드를 viewholder에 fun bind 안에 추가했다. adapter와 data class의 전체 코드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dialog를 클래스로 만들지 않고 recyclerview안에서 만들어서 다이얼로그 너비를 조정하는 부분이라던지 intent를 구현하는대 고생했다.. 하지만 결국 구글링으로 극복 코드가 별로 좋아 보이진 않지만 원하던 기능은 작동한다. 다음에 만들땐 더 깔끔하게 해봐야겠다. [Kotlin]Android Button의 background 적용 안됨 drawable 설정법(style , theme) android studio에는 기본 style들을 모아 놓은 theme가 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한 후 버튼을 만들어보면 다음과 같이 보라색 배경에 흰색 text를 갖고있는 button이 생성된다. 이같은 설정은 res - values - themes 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적용되어있는 테마는 AndroidManifest.xml 의 application 에서 적혀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Kotlin] Button setOnClickListener() vs android:onclick 둘다 기능은 같다. android:onclick은 api level4에 추가된 기능이고 더 코드가 짧다. onClickListener 은 모든 클래스가 구현할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더 유연하다. 코드가 복잡해진다면 onClickListener을 사용하는 편이 유지보수 면에서 좋다. 두개 기능이 같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onClickListener을 활용하는 편이 더 좋아보인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1319996/android-onclick-in-xml-vs-onclicklistener 참조 [Kotlin]RecyclerView 작성하기 블로그 주인은 이제 안드로이드에 대해 공부를 시작하는 수준이다. 공부하면서 알았던 것들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작성한다. RecyclerView 에 대해 적어보려고 한다. RecyclerView는 Layout의 종류로 데이터 집합들을 각각의 개별 아이템 단위로 구성하여 화면에 출력해주는 뷰 그룹이며, 수 많은 데이터를 스크롤 가능한 리스트 형태로 표시해주는 위젯을 의미한다. ListView와 동일한 형식이지만 RecyclerView는 ViewHolder 패턴을 이용하며 ItemLayout에서 가로,Grid형식을 지원하고 Decoration을 할때 RecyclerView.ItemDecoration 객체를 이용해서 구분선을 설정한다. 두 레이아웃의 가장 큰 차이점은 RecyclerView는 재사용성이 훨씬 .. 이전 1 다음